기술 | 도입 이유 |
---|---|
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| 모놀리식 아키텍처로 채팅서비스를 구현하였을 때 |
채팅 서비스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서버가 다운됩니다. | |
DB 각 서비스 별로 분리 | DB를 5개로 나누면 결합도가 낮아져 |
서비스의 단독 실행이 가능하고 | |
이로 인해 하나의 DB가 사용 불가능할 때 | |
다른 서비스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 | |
프레임 워크 X |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TCP서버를 구현하였을 때 |
패킷을 통한 통신을 더 자세히 학습할 수 있습니다. | |
또한 지금까지 프레임워크가 진행해 주던 파싱 등의 과정을 | |
자세히 알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. |
문제 상황 | 해결 방안 |
---|---|
서비스간의 요청을 위해 통신 메서드들을 만들었는데 | |
너무 많은 곳에서 같은 코드가 반복된다. | 뼈대가 되는 부모 클래스인 TCP server 안의 메서드를 |
자식 클래스에서 상속았습니다. | |
프론트엔드 파일을 서버로 쉽게 띄울 수가 없다. | 기본 내장 모듈인 fs.createReadStream()을 통하여 |
파일 내용을 출력해 읽어 pipe()를 통해 자동으로 씁니다. |